- 도자기‧한복‧한지 등 명장대표작 전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예술세계 선여 - [세계타임즈=경북 한윤석 기자] 경상북도는 21일부터 27일까지 미국 워싱턴 D.C 일원에서 ‘2025 경상북도 전통공예 특별전(Crafts Manship Maker 2025)’을 열어 경북 전통공예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렸다.
이번 특별전은 지난해 경북이 미국 스미소니언 여성위원회가 주최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스미소니언 크래프트투웨어쇼에 초청받아 홍보관을 운영한 성과를 토대로 마련됐다.
당시 전시는 스미소니언과 워싱턴 한국문화원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눈)를 통해 소개되며 큰 호응을 얻었고, 이를 계기로 올해는 경북 단독 특별전이 성사되었다.
첫 번째 전시는 21일부터 26일까지 알렉산드리아의 토피도 팩토리 아트센터(Torpedo Factory Art Center)에서 진행됐다. 개막식에는 5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전통 궁중복 시연, 국악 공연, 다도 시연, 민화·한지공예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펼쳐졌다.
두 번째 전시는 23일부터 27일까지 조지워싱턴대학교 섬유박물관(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Textile Museum)에서 열렸다. 개막식에는 1,000여 명이 방문했으며, 스미소니언박물관 수석 큐레이터, 미국 문화계 인사, 한인회장 등이 함께해 한국 공예의 아름다움을 나눴다.
이번 특별전에는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공모 신청을 받아 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선발된 14명의 경상북도 공예작가가 참여했다. 이들은 도자기, 전통 궁중복(한복), 천연염색, 전통민화, 한지 및 금속 공예 등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다.
특히 ▴경상북도 1호 명장인 김재철 명장의 달항아리 ▴이봉이 명장과 김세진·이연수 작가의 조선 궁중복 재현(한복) ▴홍화 천연염색 ▴민화의 현대적 해석 ▴전통 한지공예의 정수 ▴도예가들의 새로운 시도 ▴금속공예의 미래적 표현 등이 전시되어, 한국 공예의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수준 높은 예술세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스미소니언과 연계해 워싱턴 주요 기관에 경북 공예 책자*를 배포하고, 다가올 2025 APEC 정상회의 홍보도 함께 진행해 국제적 파급 효과를 높였다.
참여 작가들은 “한국 전통과 현대 공예가 결합한 작품을 세계 무대에 알릴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이번 전시를 계기로 경북 공예품의 해외 시장 가능성을 확인했고, 앞으로 다양한 국제 교류와 협업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이번 미국 특별전은 에이펙(APEC) 정상회의와 연계해 문화외교와 국제 교류를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해외 전시 참여와 지원을 적극 추진해 경북 공예가 세계 속에서 더 인정받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울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